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파이썬기초
- 파이썬문법
- 파이썬클래스
- 파이썬강의
- SQL
- MBTI성격검사
- 파이썬인강
- 광교카페
- 패스트캠퍼스수강후기
- 스크래핑
- MBTI
- 파이썬독학
- 셀레니움
- 비전공자파이썬
- 스위스기준금리
- 파이썬온라인수업
- 패스트캠퍼스후기
- 파이썬 인강
- MBTI성격유형
- 중국수출통제
- 비트코인
- 순천여행
- 파이썬배우기
- 미국디리스킹
- swift문법
- 노르웨이기준금리
- 암호화폐
- 파이썬수업
- 파이썬강의후기
- 파이썬독학하기
Archives
- Today
- Total
이제 데이터 공부 안하는 블로그
[파이썬 기초] 딕셔너리 (del, list, sorted, in, not in, dict, items) 본문
딕셔너리는 데이터를 연관지어 배열의 형태로 저장하는 자료구조다.
ex) student = {"a": "김모모", "b" : "고영희", "c" : "박짱구"} 이렇게 생겼다. 대괄호안에 key값 : value 값을 짝지어서 써 준다.
- 딕셔너리는 순서로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인덱싱이 불가능하다.
- 대신 key 값으로 value 값 을 추출할 수 있다. 예를 들어 studnet["a] 를 입력하면 김모모 라는 value 값을 얻을 수 있다.
- 같은 이름의 key값을 가질 수 없고 중복 key값이 들어오면 기존 값이 삭제 된다.
파이썬 100제 문제를 풀어보았다.
#문제 8 : 아래와 같은 딕셔너리를 만들었다. 출력값은?
>>> d = {'height':180,'weight':78,'weight':84,'temparture':36,'eyesight':1}
>>> print(d['weight'])
weight라는 key값이 2개가 있다. 이 경우 weight 키 값을 입력하면 출력값은 무엇이 나올까? 정답은 84.
딕셔너리는 같은 이름의 key 값을 가질 수 없고, 중복된 key 값이 들어오면 기존 값이 삭제되기 때문이다.
del 함수 를 사용하면 키:값 쌍을 삭제할 수 있다.
>>> d = {'height':180,'weight':78,'weight':84,'temparture':36,'eyesight':1}
>>> del d['height']
>>> print(d)
{'weight': 84, 'temparture': 36, 'eyesight': 1}
list() 를 사용하면 딕셔너리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키의 리스트를 삽인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.
>>> d = {'height':180,'weight':78,'weight':84,'temparture':36,'eyesight':1}
>>> list(d)
['height', 'weight', 'temparture', 'eyesight']
sorted() 를 사용하면 정렬을 할 수 있다.
>>> d = {'height':180,'weight':78,'weight':84,'temparture':36,'eyesight':1}
sorted(d)
['eyesight', 'height', 'temparture', 'weight']
in 이나 not in 을 사용해서 하나의 키가 딕셔너리에 있는지 검사할 수 있다.
>>> d = {'height':180,'weight':78,'weight':84,'temparture':36,'eyesight':1}
>>> 'height' in d
True
>>> d = {'height':180,'weight':78,'weight':84,'temparture':36,'eyesight':1}
>>> 'height' not in d
False
dict() 을 사용하면 key-value 쌍들의 시퀸스로부터 직접 딕셔너리를 구성한다.
>>> dict([('sape', 4139), ('guido', 4127), ('jack', 4098)])
{'sape': 4139, 'guido': 4127, 'jack': 4098}
for문으로 루핑할 때 items() 메서드를 활용하면 key값고 그에 대응하는 value값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.
>>>knights = {'a': '김모모', 'b': '고영희'}
>>> for k, v in knights.items():
print(k, v)
a 김모모
b 고영희
참고자료 : https://docs.python.org/ko/3/tutorial/datastructures.html#dictionaries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 기초] 문자열 관련 함수 join, split, upper, lower, replace (0) | 2021.09.18 |
---|---|
[파이썬 기초] 클래스 (상속, 다중상속, 메소드오버라이딩, Super) (1) | 2021.09.17 |
파이썬 클래스, 인스턴스, 메소드, 모듈 이해하기 (0) | 2020.12.20 |
상수 (constants) & 변수 (variable) (0) | 2020.12.08 |
패스트캠퍼스 파이썬 웹 개발 올인원 패키지 챌린지 참여 후기 (0) | 2020.12.08 |